top of page

블로그
가족상담에 관한 내용
대학원 수업으로 수강한 가족상담 중간고사의 몇 문제와 답을 올려놓습니다. 저도 자주 보면서 상담할 때 도움을 받으려고 합니다.^^ 부모-자녀 하위체계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부모-자녀 하위체계는 다른 세대의 사람들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이...
트라우마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치료 관련 논문들
교육 대학원 때 과제로 제출한 내용입니다. ...


상가 번영회 회의
센터 프라자의 주차 차단기 설치를 위해 입점자들이 모여 회의를 하였습니다. 코로나 19로 회의를 진행하지 못 했는데 이렇게 시간을 마련할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회의 전 '상가 번영회 회장인 저와 총무님 및 소장님만 참석하시면 어쩌나' 하는...
외향성, 자아탄력성, 자기애, 성인애착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1. 외향성 1) 박은미, 정태연 (2015). 외향성인 사람과 내향인 사람 간 행복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1), 23-44. 박은미와 정태연(2015)의 연구는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방안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방안 ...
위깅스 & 맥타이의 백워드 모형에서 ‘backward’의 의미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위깅스 & 맥타이의 백워드 모형에서 ‘backward’의 의미는 교사들이 해왔던 것과는 반대되는 순서로 교육과정에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즉 바라는 결과로부터 거꾸로 찾아가는 것인데 수업을 통해서...
타일러(Tyler) 모형과 위깅스 & 맥타이(Wiggins & McTighe) 모형에서 목표의 중요성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타일러(Tyler)의 모형은 기술공학적 모형으로 효율성을 강조하며 국가와 지역 및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개발 시 많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모형이다. 타일러(Tyler)의 모형은 교육 목표의...
듀이의 아동을 존중한다는 것의 의미(학생관과 교과관 중심)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듀이의 아동(학생)관은 아동(학생)의 자아를 자연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아동(학생)은 경험을 통해 스스로 사고할 수 있고 경험의 재구성을 통해 삶의 문제들과 연결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으며...
브루너의 '어떤 교과든지 올바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 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한 주장에 관한 설명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정선화 1957년 10월 소련에서 인공위성 스푸트닉 1호를 발사한 사건이 계기가 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의 성격이 재검토되었다. 그 후 교육의 목적은 지력을 계발하는 것으로 교육의 내용은 기본 개념의 중요성을 주장한 브루너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는 무엇인가?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제목: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는 무엇인가? 1.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에 대한 논쟁 오늘날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은 더 이상 하나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