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블로그


시흥시 육아종합지원센터 강의 잘 마침
원장입니다.^^ 시흥시 육아종합지원센터 강의는 잘 마쳤습니다. 대학원에서 학생으로 줌강의를 듣다 강사로 줌강의를 하는 것은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피곤하실텐데도 보육선생님들께서 열심히 강의에 집중해 주셨습니다. 저 또한 다시 한번 기초를 돌아볼...
홈페이지 블로그에 교직수업에 관한 글 나눔
홈페이지 블로그에 교직수업 때 과제와 시험으로 작성했던 원장의 글을 올려두었습니다. 홈페이지-> 블로그(데스크 탑에서는 오시는 길 옆란, 모바일에서는 오시는 길 아래) 내용은 영화 감상문, 4차 산업혁명 시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재구성, 역량...
위깅스 & 맥타이의 백워드 모형에서 ‘backward’의 의미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위깅스 & 맥타이의 백워드 모형에서 ‘backward’의 의미는 교사들이 해왔던 것과는 반대되는 순서로 교육과정에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즉 바라는 결과로부터 거꾸로 찾아가는 것인데 수업을 통해서...
타일러(Tyler) 모형과 위깅스 & 맥타이(Wiggins & McTighe) 모형에서 목표의 중요성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타일러(Tyler)의 모형은 기술공학적 모형으로 효율성을 강조하며 국가와 지역 및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개발 시 많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모형이다. 타일러(Tyler)의 모형은 교육 목표의...
듀이의 아동을 존중한다는 것의 의미(학생관과 교과관 중심)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듀이의 아동(학생)관은 아동(학생)의 자아를 자연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지 않았다. 아동(학생)은 경험을 통해 스스로 사고할 수 있고 경험의 재구성을 통해 삶의 문제들과 연결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으며...
브루너의 '어떤 교과든지 올바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 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한 주장에 관한 설명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정선화 1957년 10월 소련에서 인공위성 스푸트닉 1호를 발사한 사건이 계기가 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의 성격이 재검토되었다. 그 후 교육의 목적은 지력을 계발하는 것으로 교육의 내용은 기본 개념의 중요성을 주장한 브루너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는 무엇인가?
이화언어심리연구소 원장 정선화 제목: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는 무엇인가? 1.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해결과제에 대한 논쟁 오늘날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은 더 이상 하나로...


연구소 휴원 및 안식일 안내
원장인 저의 학교 및 보육교사 외부강의로 5월부터 매 주 수요일은 휴원합니다. 저의 강의를 통해 많은 분이 도움받기를 원하며 저 또한 성장하는 시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강의가 없는 날은 안식일로 쉬면서 질 높은 치료를 위해 재충전의 시간을...


백학초 교사지원(전문적 학습 공동체 강의)- TCI 검사를 활용한 자기이해 및 의사소통 활용
원장입니다.^^ 원장인 제가 6월 29일과 7월 6일 수요일 2:30-4:30에 백학초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 프로그램으로 교사지원 TCI 웍샵을 강의하게 되었습니다. 교육현장 수업 때 전문상담교사로서 학교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bottom of page